커뮤니티

자료실
HOME  >  커뮤니티>  >  자료실
 

[포럼] 2023 나고야 국제 리더십 포럼 7가치 김성훈 선교사 발제

작성자 :
브링업인터내셔널
등록일 :
2023/12/04
조회수 :
110
IP :
221.♡.♡.8

영상링크

https://youtu.be/SIGKAqXppIU


2023 나고야 국제 리더십 포럼 7가치 김성훈 선교사 발제



발제 내용


The seven values of Bringup International

 Chapter 1: Background

 

지난 20166월에 한국 ARILAC디아스포라 연구소의 후원으로 필자는 독일의 중부 헵슈타인(Herbstein)에서 대략 40개 단체의 리더들이 모여 디아스포라, 난민 훈련 사역에 대한 주제로 유럽 교계, 선교계, 지도자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그 논의들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도출하고 대안을 찾는 일을 한 바 있다. 그 중 난민 사역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        난민가운데 지도자 발굴

-        난민 다음세대를 위한 교육대책

-        지원을 위한 펀드와 동원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 방안

-        장기적인 사역을 위한 실제적인 운영기구의 설립

 

In June 2016, with the support of the ARILAC Diaspora Research Institute in Korea, a conference was held in Herbstein, central Germany, where leaders from approximately 40 organizations gathered to discuss on the topic of diaspora and refugee training ministry. As a result of those discuss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and alternatives were sought. Among them, the plans for refugee ministry are as follows.

 

- Discovering leaders among refugees

- Education measures for the next generation of refugees

- Funds for suppor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easures for mobilization

- Establishment of a practical operating organization for long-term ministry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그 이후 2018년에 독일의 중남부에 있는 선교단체인 DMG Interpersonal과 더불어 인도 타밀 난민과 이란인들 중심으로 Equip7 학습 공동체(Equip7: Learning Community)로 명명한 지도자 합숙 훈련을 프로그램과 함께 개발하여 3차례 진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독일 DMG, 난민 사역 단체인 ECM, Wycliffe, 그리고 한국의 ARILAC디아스포라 연구소, Refugee Highway등의 사역자들이 참여하였다.

 

To put this into practice, in 2018, together with DMG Interpersonal, a missionary organization in south-central Germany, we developed a leadership training camp called Equip7: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Indian Tamil refugees and Iranians, along with a program. It has been conducted three times. This program was participated by ministers from Germany's DMG, refugee ministry organizations ECM and Wycliffe, and Korea's ARILAC Diaspora Institute and Refugee Highway.

 

이 훈련을 시작하고자 할 때 우리들의 비전은 유럽과 그 지경을 넘어 하나님 나라와 그의 선교를 위해 디아스포라들이 준비되도록 한다.’이고, 선교 목표는 디아스포라 사역자들과 더불어 서로 배우는 학습 공동체(Learning Community)를 이룬다이다. 이를 실천하기위한 행동 철학으로 7가지의 가치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게 되었다. 유연성(Flexibility), 협력(Collaboration), 적정성(Relevancy), 상호연대(Inter-Clusion), 투명성(Transparency), 신뢰성(Integrity), 상호 호혜성(reciprocity). 이 일곱 가지 가치는 지금까지 잘못된 힘의 논리와 선교지에서 우열의 관점들을 배제하고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고귀한 존재임을 전제로 서로 그리스도안에서 장성한 분량으로 성장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있다. Bringup International도 이 가치를 받아드려 사역의 중요한 틀을 세워나가고 있다.

 

When we started this training, our vision was to prepare the diaspora for the kingdom of God and his mission in Europe and beyond', and our mission goal was to build up a learning community where we can learn from each other along with diaspora ministers.

 

As a behavioural philosophy to put this into practice, we agreed that seven values mentioned below are a part and parcel for our work nature. That is, Flexibility, Collaboration, Relevancy, Inter-Clusion, Transparency, Integrity, Reciprocity.

 

These seven values exclude the false logic of power and perspectives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nd aim to help each other grow to maturity in Christ on the premise that all people are noble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Bringup International is also collaborating and embracing these values to establish an important framework for its ministry.

 

각 가치들이 추구하는 방향은 아래와 같다.

The direction pursued by each value is as follows.






Chapter 2: 유연성(Flexibility):

 

선교현장에서 유연성이라 함은 과거 서구가 주도해 온 제도적 교육의 폐해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선교현장의 연구와 정보가 부재하던 시절에 일단 외부로 부터 전달된 수많은 신학과 선교학 프로그램들이, 선교지에서도 부적절하게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오랫동안 강요되어 온 사실이 현대 선교 현장에서 드러나고 있다. 예를 들어, 과거 튀르키에어가 알타이어 계열의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전혀 문법과 음운론의 관점에서 이질적인 언어인 아랍어의 알파벳을 차용하여 사용하므로서 국가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

 

About “Flexibility” in the mission field we cannot help but think of the harmful effects of institutional education led by the West in the past. In a time when there was no research and information in the mission field, numerous theological and missiological programs were delivered from outside. The fact that they have been forced upon the locals in the mission field for a long time in the name of civilization is being revealed in modern mission fields.

 

Just as seen in the past of Türkiye the exotic form of its alphabet has been borrowed from Arabic language that was a completely foreign language in terms of grammar and phonology, and that had been dominant religiously at the time. The borrowing of the Arabic alphabet has served as a factor of hindering national development.

 

이 유연성은 여러사람에게 내가 여러 모양이 된 것은 아무쪼록 몇몇 사람을 구원코자 함이라(고전 9:22)”는 바울의 고백처럼, 제도 교육을 벗어나 현지인의 특성과 자발성을 존중하는 비제도적인 다양한 학습방법을 개발하는데 촛점을 가지고 있다. 그들에게 적절한 학습 방식은 기독교 신학적 적용에 관한 유연성도 포함하여 처음부터 그들과 더불어 함께 주제를 정하고 교재를 만들도록 모든 수단을 강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This flexibility is like Paul's confession, “I am made into all things to all people, that I may by all means save some (1 Corinthians 9:22).” This flexibility can be achieved through non-institutional diverse ways of learning that goes beyond institutional education and by respects the characteristics and spontaneity of local people.

 

The focus is on developing our attitudes and methods toward local people. For example,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for them involves taking every possible measure to determine topics and create teaching materials together with them from the beginning, including flexibility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Christian theology.

 

Discussion

1.     Briefly share about the differences and advantage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education while learning or teaching in the mission field.

2.     What attitude we need to develop in terms of flexibility when we work in the mission field?






Chapter3: 협력(Collaboration):

 

진정한 협력은 개신교 선교의 시작부터 이미 태생적으로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다고 보인다. 선교에 있어, 이 협력이란, 복음을 가진 자와 수용자 사이의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개신교 선교하면 인도 선교를 시작한 윌리암 케리(William Carey)를 떠올리는 데, 그의 광대한 업적에 비해 그의 선교의 전략과  진정한 협력에 대한 평가는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성경 번역에 대한 경우, 그가 번역한 환경은 철저하게 현지인들이 배제된 채 고립된 지역에서 일부학자들과의 학술적 산물과 흡사한 결과물을 만들고 말았다. 이를 빗대어 엔드류 월스는 케리와 함께 일했던 마쉬만의 중국어 성경번역을 근대 선교운동 중에서 가장 큰 흰 코끼리 중의 하나라고 하며 아무 가치도 없이 돈과 노력만 많이 들어 간 것[1]이라고 평가했다.

 

It seems that true collaboration was already inherently problematic from the beginning of Protestant missions. This collaboration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who have the gospel and those who receive it in the mission field. When we think of Protestant missions, we think of William Carey, who started missions in India. However, compared to his vast achievements, the evaluation of his missionary strategy and true cooperation is controversial. In the case of Bible translation, the environment in which he translated was completely excluded from local people, and he ended up producing results that were like the academic products of some scholars in an isolated area. In comparison to this, Andrew Walls called the Chinese Bible translation by Marshman, who worked with Carey, “one of the biggest white elephants of the modern missionary movement,” and evaluated it as “a lot of money and effort with no value.”

 

협력에 있어 가장 유의해야 할 지점은 선교사와 현지인과의 관계가 갑과 을(symmetrical vs Asymmetrical)’ 이 생성되는 경우이다. 글로벌 디아스포라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우리는 현장에서 다양한 종족들과 파트너십과 협력이 생기며, 특히 유럽의 상황에서는 지역교회들과 이민교회 들간의 대등한 협력이 그 어느때보다 요구되고 있고 이민과 난민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주자들이 사회적, 문화적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자산(Cultural capital)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사회에 일정하게 기여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분석한다. 빌립보서 1:27 절은 우리에게, “일심으로 서서 한 뜻으로 복음의 신앙을 위해 협력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진정한 협력은 갑 을 관계를 넘어 하나될 때 비로소 가능할 것이다.

 

The most important point to pay attention to in collaboration i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missionaries and locals becomes ‘symmetrical vs. asymmetrical.’ As the global diaspora phenomenon accelerates, we are seeing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 with various ethnic groups in the field. Especially in the European context, equal collaboration between local churches and immigrant churches is needed more than ever, and scholars who study immigration and refugees they analyse that because immigrants have assets(Cultural capital) that can contribute socially and culturally to society, it is important to provide space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society on a regular basis.

 

Philippians 1:27 calls us to “stand firm in the one Spirit, striving together as one for the faith of the gospel.” True collaboration will only be possible when we become one beyond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master-slave relations).”

 

Discussion

 

1.     Have you ever had a misuse of your authority over a local people in your ministry? If so, do you think the situation is right? If wrong, what do you think is your problem in terms of collaboration?






Chapter 4: 적정성(relevancy):

 

적정성을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어떤 상황에 군더더기 없이 정확하게 들어맞는 경우로서, 영어로는 ‘appropriateness’와 유사한 의미이다. 선교현장에서 복음을 전달하거나 현장의 필요를 채우고자 할 때 제일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그 문화를 수용하는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즉 두가지 관점, 외부자의 시각(Etic view)과 내부자의 시각(Emic view)이다.    

필자가 사역하고 있는 독일의 경우, 난민 정착이 가속화되면서 난민의 지역사회에 대한 통합을 위해 독일정부는 정부의 행정 편의상 절차를 따라 주류 사회로 진입하도록 소위 외부자 관점(Etic view)의 정책을 이주자들에게 요구해 왔다. 이는 단기적인 성과는 보일 찌 몰라도 장기적인 통합을 목표로 한다면 이주자들이 실제로 필요한 관점들(Emic view)에서 재조명이 필요하게 보인다.

 

Another way to express relevancy is when something fits a certain situation exactly without unnecessary details. In English, it has a similar meaning to ‘appropriateness.’ When trying to convey the gospel or meet the needs of the field in the mission field, the first thing to think about is the perspective of accepting the culture. That is, there are two perspectives: an outsider's perspective (etic view) and an insider's perspective (emic view).

 

In the case of Germany, where refugee settlement is accelerating, the German government has adopted a so-called etic view policy to allow refugees to enter mainstream society by following the government's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administrative convenience. They have been asking for it. Although this may show short-term results, if the goal is long-term integration, it seems necessary to re-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what immigrants actually need (emic view).

 

그리스의 난민 캠프에서 일한 젠 오토리노(Jen Ottolino)의 지적[2]을 살펴보면, 난민들에게 제공하는 일들이 난민에게 해를 주거나, 자연스럽지 못해 난민들에게 무기력감을 주고, 불필요한 자원을 공급하므로 자원의 낭비도 심하다는 것이다. “누구든지 자기의 유익을 구치 말고 남의 유익을 구하라(고전 10:24)”라고 한 바울의 지적이 현장을 섬기는 태도가 무엇인지 잘 보여주고 있다. 이론이 아닌 현장 중심의 사역(Theory focused vs Practitioner focused)을 통해 선교사는 현지인을 복음의 주체로 세우는 일에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적정성은 반드시 지속 가능한 속성(Sustainability)도 포함해야 한다

 

Jen Ottolino, who worked in a refugee camp in Greece, pointed out that the work provided to refugees is either harmful to them, unnatural and causes them to feel helpless, and wastes resources by supplying unnecessary goods. Paul's comment, “Let no one seek his own benefit, but the benefit of others (1 Corinthians 10:24)” clearly shows a good example of the attitude of serving the field. Missionaries should play the role of a facilitator in establishing local people as subjects of the gospel through field-oriented ministry rather than theory (theory focused vs. practitioner focused). This relevancy must also include sustainability.

 

 Discussion

 

1.     Do you really provide a relevant ministry for the local people during your ministry? Or do you think mission is to do more visible performance for the sake of mission itself?






Chapter 5: 상호 연대(Inter-Clusion):

 

상호 연대로 표현된 이 단어는 Inclusionin-이 갖는 의미를 보완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체가 상호 흡수되는 것을 의미하여 Inter-라는 접두어를 넣어 만든 단어이다이 새로운 조합어는 아직 유명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단어로 특별히 디아스포라와 난민 상황에서 수용국과 이민자들이 서로를 좀 더 이해하고 협력하고자 조합된 표현이다.  Inclusion은 대부분의 이주민과 난민을 수용하는 국가들이 자국의 문화에 통합되길 바라면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대부분 이방인들이 새로운 정착지에 가면 언어와 문화의 이질감속에서 정체성 위기를 겪는 것이 일상처럼 보인다. 그 양상을 보면 다음과 같이 네 가지[3]로 분류가 가능하다.

 

This word, “Inter-Clusion”, expressed as mutual solidarity, complements the meaning of ‘in’- in inclusion, meaning that two entities are absorbed into each other rather than being absorbed in one direction. It was created by adding the prefix inter-. This new combination word is a word that has not yet been registered in a popular dictionary and is an expression that was combined to help host countries and immigrants better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especially in diaspora and refugee situations. Inclusion is a term used by countries that host most immigrants and refugees in the hope that they will be integrated into their own culture.

 

It seems like a daily occurrence for most strangers to experience an identity crisis due to the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lture when they go to a new settlement. Looking at its aspects, i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첫째 유형은 이민자가 자기 문화적 정체성도 중요하고 주류사회와의 관계도 가치있게 여길 때 진정한 통합이 이루어진다.

둘째 유형은 이민자가 지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는 일은 중요한데 주류사회와의 공감을 얻지못할 때 사회로 부터 격리된다.

셋째 유형은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보다는 주류사회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할 경우에 거의 주류 문화속에 동화되어 버린다.

넷째 유형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없거나 주류사회와의 관계도 배제되는 상황이 되면 주변화되고 만다.

 

In the first type, true integration occurs when immigrants value their cultural identity and relationships with mainstream society.

In the second type, it is important for immigrants to maintain their cultural identity, but when they cannot gain sympathy from mainstream society, they become isolated from society.

The third type is almost assimilated into mainstream culture when it is judged that relationships with mainstream society are more important than maintaining one's own identity.

The fourth type becomes marginalized when they are unable to maintain their cultural identity or are excluded from relationships with mainstream society.

 

이민자가 주류사회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주위환경이 받쳐주지 못할 경우, 좌절감이나 무력감에 빠지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 사회의 조직적이고 정책적인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주류 사회가 이들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서로를 이해하는 관점들을 발전시키고 이민자가 주류 문화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주류 사회도 이민자들의 문화나 언어 그리고 종교에도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본다.

 

Immigrants need their own efforts to successfully enter mainstream society, but i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oes not support them, they can easily fall into frustration or a sense of helplessness. Therefore, it appears that systematic and policy intervention by the local community must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efforts by mainstream society to understand them must be made simultaneously. Accordingly, I believe that we must develop perspectives to understand each other and not only allow immigrants to understand the mainstream culture, but also mainstream society should be interested in and try to understand the culture, language, and religion of immigrants.

 

일전에 필자는 독일 목회자들과 이민 교회 목회자들과의 연합 컨퍼런스에서 서로의 신학적 차이를 논의하다 아프리카의 번영 신학을 폄하하는 독일 목회자의 태도에 아프리카 목회자가 매우 상처를 받은 일을 목격하기도 했다. 우리는 모두 자기 문화적 환경의 산물일 뿐이다. 서로를 존중하며 각자의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일이야 말로 상호 연대로 가는 지름길이라 생각된다. 한걸음 더 나아가 지금까지 기독교는 복음을 배타적으로 변증하는 일에 많은 시간과 학문적 업적을 쌓아 왔는데 이제는 타종교의 형제들을 만나고 대화하고 그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열방의 내부자 중심의 선교는 특별히 다원주의적인 환경에 우리와 다른 세계관을 가진 다른 형제들과도 연대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믿는다.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133:1).

 

Some time ago, while discussing theological differences at a joint conference between German pastors and immigrant church pastors, I witnessed an African pastor being very hurt by the attitude of a German pastor who denigrated Africa's prosperity theology. We are all just products of our cultural environment. I think that respecting each other and respecting and caring for each person's ra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s the shortcut to mutual solidarity. Going one step further, Christianity has accumulated a lot of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exclusively apologizing for the gospel, but now I think it is necessary to make more efforts to meet and talk with brothers of other religions and listen to their voices. We believe that ‘local-centred missions in the nations’ presents a direction for solidarity with other brothers who have a different world view than us, especially in a pluralistic environment. “How good and how pleasant it is for brothers to live together in unity… (Psalm 133:1).

 

Discussion

1.     Do you think that you have entered the local culture and become like them? Or do you want them to come into the plan you have?






Chapter 6: 투명성(Transparency):

 

사역자가 도덕적으로 내적 훈련이 되어야 함과 동시에 현지에서 처음부터 열린 사역 방식을 추구하는 것을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투명성에는 재정, 사역의 내용, 섬기는 공동체의 성장등이 있는데 그 사역 과정이 사역초기부터 현지 동역자들과 공감대를 갖고 출발하는 것이 옳다. 필자가 초기 아제르바이잔 언어로 성경을 번역할 때, 연합성서공회, 위클립의 SIL 유라시아그룹등의  외부의 기관들이 수도 바쿠에서 오순절교회, 침례교등 각 교회의 지도자들과 아제르바이잔 성서 공회와 또 다른 성경번역 단체와 더불어 번역 방향에 대한 합의된 논의를 진행하므로서 무사히 성경 번역이 완성되어 출판될 수 있었다.

 

Field workers should be morally trained internall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first consider pursuing an open ministry method locally from the beginning. This transparency is related to finances, the content of the ministry, and the growth of the serving community. It is also desirable to start with a consensus with native workers from the beginning in the field.

 

In the beginning of Bible translation in Azerbaijan, I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partnership with local leaders such as Kitap siriketi(Bible Society), Pentecostals and Baptists in the capital Baku as well as United Bible Society, and Wycliffe Bible translators to translate the Bible. By conducting an agreed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translation with the organization, the Bible translation was successfully completed and published.

 

투명성은 닫힌 문을 여는 것이며, 목표를 혼자 정하고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성장하는 것이며,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조력자의 자리에 서는 것이며, 교사가 되는 자리에서 학습자의 자의 자리로, 교육이 아니라 멘토의 자리로, 말하는 것보다 듣는 자로 서는 것이다. 일전에 청년들과 투명성에 대해 웤샆을 하면서, 사역지에서 투명성을 담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키워드들을 서로 나눈 적이 있다. 그중 몇가지를 소개하면, 내적 동기의 중요성, 누구에게도 열린 마음, 결과도 중요하지만 과정의 투명성, 기꺼이 포기하는 마음, 현지인이 선교사의 애완 물건이 아님을 인식하는 것이 이었다. 현지인 중심의 선교를 생각할 때, 선교지에 어떤 것도 외부자가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구조는 허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결국 선교는 현지인이 그리스도 안에서 스스로 자라날 뿐만 아니라 선교사 자신도 자라지 못하면 그 선교는 실패한 것이 아닐까? 바울의 고백처럼, “우리가 이 직책이 훼방을 받지않게 하려고 무엇에든지 아무에게도 거리끼지 않게하자.(고후 6:3)

 

Transparency is opening closed doors, not setting, and achieving goals alone, but growing together, not teaching but standing in the position of a facilitator, moving from the position of a teacher to the position of a learner, not an educator, but a mentor. Be a listener rather than a speaker.

 

While I was having a meeting with young people about discussing on transparency the other day, we shared keyword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ensure transparency in the ministry. A few of them are the importance of internal motivation, an open mind to anyone, transparency of the process while the results are important, willingness to give up, and recognition that local people are not missionaries' pets.

 

When considering local-centred missions, a structure in which outsiders arbitrarily decide anything in the mission field should not be allowed. In the end, wouldn't the mission have failed if not only the local people grow in Christ, but the missionaries themselves also fail to grow? As Paul confessed, “let us not allow anyone to stumble in any way, lest this office be maligned” (2 Corinthians 6:3).    

 

Discussion

 

1.     Have you always thought that the ministry was to nurture the locals? Have you ever thought that you learned and grow up through the local people?   






Chapter 7: 신뢰성(Integrity):

 

선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략적 목표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목표를 위해 사역자가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 신뢰성의 중요한 덕목일 것이다. 그러나 종종 우리는 하나님의 나라와 자신의 왕국과 혼돈 할 때가 있다. 누가복음 2446 절과 47절에,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고 제 삼일에 죽은자 가운데서 살아날 것과 또 그의 이름으로 죄사함을 얻게 하는 회개가 예루살렘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족속에게 전파될 것이 기록되어있다. 개신교 선교가 과거에 왜곡된 길을 걷게 된 것은, 누가복음 2446절의 복음의  ‘구속적 교리(복음 선포: Proclamation)’47절의 선교적 교리(demonstration: Public Gospel)에 우선한다는 북미 복음주의자들의 견해에 편도되어서 선교현장의 문화와 상황들을 고려하지않은 처사라고 볼 수 있다.

 

The most important strategic goal in missions is the expansion of God's kingdom. It would be an important virtue of trustworthiness for ministers to put forth their best effort toward this goal. But often we confuse God's kingdom with our own.

 

In Luke 24:46 and 47, it is written, “Christ will suffer and rise from the dead on the third day, and repentance and forgiveness of sins will be preached in his name to all nations, beginning at Jerusalem.”  The reason why Protestant missions went down a distorted path in the past is because the North American gospel that the ‘redemptive doctrine (Proclamation)’ of the Gospel in Luke 24:46 takes precedence over the ‘demonstration (Public Gospel)’ in verse 47 of the Gospel. It can be seen as an action that is biased towards the views of the North-American fundamental evangelists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culture and circumstances of the mission field.

 

크리스토퍼 라이트(Christopher Wright)는 최근 그의 글, 총체적 선교란 무엇인가? 어디부터 시작할 것인가?(What is ‘holistic mission’?: Where should we start?)에서 선교현장에서 복음 전도(Evangelism)와 가르침(Teaching)뿐만 아니라 그와 동등하게 정의(Justice)와 긍휼 사역(Compassion), 그리고 창조물의 보호(Creation care)의 영역까지 선교가 확대되어야  하며 온전한 복음은 이 다섯 가지의 총합이라고 제시했다. 사역자가 현지에서 이 총체적 복음 사역에 충실할 때 비로소 진정한 신뢰성이 구축될 것이다.

 

Christopher Wright recently suggested in his article, “What is Holistic Mission? Where should we start?”, that not only evangelism and teaching in the mission field, but equally justice and compassion, and that missions should be expanded to the area of creation care, and emphasized that the whole gospel is the sum of these five things.

 

Only when workers are faithful to this holistic gospel ministry in the field will true credibility be established.

 

필자가 지난 30년 가까이 함께한 위클립 성경번역 선교회는 과거 결과 지향적인 구조(Result based management)를 탈피하여 과정 중심의 체재(Process based management)로 전환을 도모하면서 위클립 킹덤이 아닌 하나님 나라의 성장을 위해 효율적인 조직 제도에서 세계 교회가 함께하는 성경번역 운동(현지 교회가 주축이 되어 자발적으로 번역 사역이 일어나도록 돕는 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좀 더 공감하는 가치들을 담은 공동체, 반추하는 실천가, 배움의 광역 공동체, 특히 세일 보트 패러다임의 파트너십을 추구하고 있다이런 일련의 각성을 통해 우리는 좀 더 세상에서 신뢰받는 지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Example:

 

The Wycliffe Global Alliance, with which I have been aserving for nearly 30 years, is breaking away from the result-oriented structure of the past and seeking to transition to a process-based management system, focusing not on the ‘Wycliffe Kingdom’ but on the Kingdom of God. For growth, we need to change direction from an efficient organizational system to a Bible translation movement with global churches (a movement led by local churches to help voluntarily carry out translation work) and a community with more empathetic values, reflective practitioners, and learning. We are pursuing partnerships with the wider community, especially the 'sailboat paradigm'. Through this series of awakenings, we will be able to become more trusted members of the world. 

 

Discussion

 

Discussion

1.     Have you ever experienced the preaching of the gospel to the mission field and at the same time helped them to justify the gospel in transforming the society?

2.     Have you ever thought that proclaiming the gospel and participating in social change are equally important?






Chapter 8: 상호 호혜성(reciprocity):

 

21세기에 폭발적인 인구이동으로 인해 전무후무하게 다문화, 다종교, 다인종 사회로 급속하게 전환되어 가는 유럽은 지난 2010년 도쿄에서 글로벌 교회들의 주도로 진행된 에딘버러 2010 선교대회에서 선교지로 선언되므로서 한국 교단과 선교계도 유럽을 선교지로 인식하고 교단 목회자들을 이민교회 목회자에서 선교사로 재파송하는 절차들을 진행해 왔다. 특별히 유럽은 다른 지역과 달리 기존의 제도교회들과 이민교회들 간의 신학, 기독교 전통과 역사가 달라, 상호 연대가 쉽지않으며, 더우기 한인 이민교회들은 언어와 문화차이로 인해 진정한 협력사역보다는 독일의 제도 교회들의 우산속에서 건물만 임차하는 정도의 관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유형은 필자가 오랫동안 사역했던 영국과 또 프랑스등도 마찬가지 형편이다.

 

Mutual reciprocity: Due to unprecedently explosive population movements in the 21st century, Europe, which is rapidly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and multi-ethnic society, was declared a 'mission field' at the Edinburgh 2010 Mission Conference led by global churches in Tokyo in 2010.

 

As it was declared, Korean denominations and mission circles also recognized Europe as a mission field and proceeded with the process of re-dispatching denomination pastors from immigrant church pastors to missionaries.

 

In Europe, unlike other regions, the theology, Christian tradition, and history between existing institutional churches and immigrant churches are in huge gap, make mutual solidarity difficult. Furthermore, Korean immigrant churche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their own ethnic ministry in Germany rather than truly cooperative ministries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There is a tendency to maintain a relationship that involves only renting a building under their umbrella. This type of situation is the same in England and France, where I worked for a long time.

 

필자가 유럽의 리더십들과 교류하면서 유럽의 주류교회들과 이민교회들이 동반자적인 사역 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서로의 차이점 보다는 신앙고백적 유사성과 복음의 온전성에 좀 더 공감대를 유지해야 함을 깨달았다. 이 유사성은 서구와 비서구의 신학적 사유의 차이의 영역을 뛰어넘어 본질적인 것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가령, 필자가 이 글에서 논하고자 했던 진정한 선교의 방향이 무엇인가?를 같이 모색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런 공동의 목표가 정해지면 자연스럽게 우리는 자기의 주장을 내려놓고 서로에게 유익한 협력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사역자와 현지인 모두 하나님의 대위임령에 순종하여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으로 자라가는 세계의 그리스도인의 공동체를 구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Being interacted with European leadership, I realized that in order for mainstream European churches and immigrant churches to successfully achieve a partnership in ministry, they must maintain greater consensus on confessional similarities and the integrity of the gospel rather than on their differences. This similarity goes beyond the realm of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non-Western theological thinking and returns to the essential.

 

For example, it will be a matter of exploring together what is the true direction of missions that I wanted to discuss in this article. Once this common goal is set, I believe we can naturally put aside our own opinions and pursue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In this way, both pastors and local people will be able to build a world Christian community that obeys God's Great Commission and grows into the full stature of Christ.

 

지금 진행하고 있는 학습 공동체에서도 독일 사역자, 한국 사역자, 그리고 타밀 형제, 이란 형제들이 동등하게 서로에게 유익을 끼치는 역할들을 해 나가려고 하고 있다.  “우리가 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 온전한 사람을 이루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데 까지 이르기를 간절히 소원한다.(4:13)  

 

In the current learning community, German workers, Korean ministers, Tamil brothers, and Iranian brothers are equally trying to play roles that benefit each other. “I sincerely hope that we may all reach unity in the faith and in the knowledge of the Son of God, until we become perfect people and reach the stature of the full stature of Christ.” (Ephesians 4:13)    

 

Discussion

1.     Have you ever tried to make locals a true partner and make them grow up? In the end, do you truly believe that the locals or workers are equally a part of the image of God?



[1] 진기영, 서양식 선교방식의 종말: 타문화권 선교의 장벽, 윌리암 케리의 선교에 대한 비판적 연구. CLC Seoul, 2017 p.123.

[2] Ottolino, Jen, The Emic and Etic in Practice: Working with Refugees in Chios, Greece. Excerpted from Practicing Emic and Etic, in www.programs.online.american.edu.on 12 July 2021.

 

[3] Berry, J.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1, p. 5-68.

 

비밀글 확인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비밀번호 :
QRCODE를 스캔하세요.